Controller
@SpringBootApplication
스프링부트의 자동 설정, 스프링 Bean 읽기와 생성을 모두 자동으로 설정함
해당 class에 있는 위치부터 설정을 읽어 가기 때문에 항상 프로젝트의 최상단에 위치해야 함.
SpringBootApplication.run()
스프링부트의 내장 was이다.
외장 was를 사용해도 되지만 내장 was 사용 권고
(언제 어디서나 같은 환경에서 스프링 부트를 배포)
-
성능상 이슈 : 톰캣 역시 서블릿으로 이루어진 자바 애플리케이션이다. 똑같은 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RestController
컨트롤러를 JSON을 반환하는 컨트롤러로 만들어 줌
예전에는 @ResposeBody를 각 메소드마다 선언 했던것을 한번에 사용할 수 있게 함
Dto(lombok)
@Getter
선언된 모든 필드의 get메소드를 생성해 줌
@RequiredArgConstructor
선언된 모든 final필드가 포함된 생성자를 생성해 줌
(final이 없으면 생성자에 포함되지 않음)
반응형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Auditing 으로 생성/수정시간 자동화하기 (0) | 2020.04.14 |
---|---|
실제로 실행된 쿼리의 형태 (0) | 2020.04.10 |
Spring Data Jpa 적용하기 01.Entity클래스 , Repository (0) | 2020.04.07 |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0) | 2020.04.07 |
Spring scheduler(스프링 스케쥴러) (0) | 2020.02.07 |